※ 두산를 옹호할 마음은 없으니 기대하신 분은 백스페이스키 눌러주세요. : )
1. 그래프 판독의 오류.

5thsun님이 "20초 찍었을 때 레오파트 1/2 의 이동거리가 50M 이상 차이나는걸 보면,"라고 언급하신 것으로 보아 그래프를 잘못 읽었다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위의 그래프를 풀어서 보자면

1) 시간당 도달 속도
레오2가 20초만에 60km에 가깝게 가속하지만, 가볍지만 추중비가 떨어지는 레오1은 50km 미만이다.
둘의 속도차이는 약 12.24km/h 까지 벌어지더라

2) 시간당 도달 거리
레오2가 15초만에 150m이동하고, 가볍지만 추중비가 떨어지는 레오1은 150m 가는데 약 17초 걸리더라
20초 뒤에 레오1과 레오2의 간격이 약 39.96m벌어지더라
로 볼 수 있습니다. Road and Off-Road Vehicle System Dynamics Handbook에는 선에 대한 설명이 없는지라 헷갈리기 딱 좋긴하죠. : ) 전에 포스팅한 원자료(Technology of tanks)에서 적었듯이 그냥 중량이 더 나가도 추중비가 우월하면 기동성에서 우위를 달성 할 수 있다는 증거로 제시된 자료일 뿐입니다.
2. 게다가 위 그래프를 도출한 실험에서 전차가 아이들 스타트를 했는지, 스톨 스타트(최적 토크 rpm으로)를 했는지 RPM에 대한 조건은 밝히지 않아서 알 수 없습니다. 결국 흑표의 32km 도달 시간을 두산파워팩 8.77초과 MTU파워팩 7.47초로 봐야하는지 두산파워팩 6.18초과 MTU파워팩 5.3초로 해야 맞는지는 실험 조건을 알고 있는 MTU사 외에는 모르는 일이라는거죠.
3. MT883 엔진 자체의 문제라고 생각하셨다면 차라리 토크 그래프 비교가 더 적합하지 않은가 싶네요.

대충 MTU사 브러슈어와 포토스케이프 가지고 만든 rpm별 토크 비교로 정확하진 않습니다.(:::)

MB 873 Ka-501에 25도 이내로 롤 제한이 더 붙어있습니다만 두 엔진의 실험조건은 거의 같습니다.
참고 자료: Technology of tanks; Richard M. Ogorkiewicz; Jane's Information Group; 1991; ISBN: 0710605951
Road and Off-Road Vehicle System Dynamics Handbook; Gianpiero Mastinu; CRC Press; 2014; ISBN: 0849333229
MTU사 브러슈어 Twelve-Cylinder Diesel Engine MT 883 for Heavy Military Vehicles 와
Twelve-Cylinder Diesel Engine MB 873 for Heavy Military Vehicles
PS: 잉어같은 픽셀 세기
높이 135 픽셀 = 50m, 1 픽셀 ≒ 0.37m
높이 115 픽셀 = 10km/h, 1 픽셀 ≒ 0.09km/h
가로 170 픽셀 = 5초, 1 픽셀 ≒ 0.03초

흑표 32km/h 도달 스톨, 아이들 스타트 시간은 한국일보기사에서 따왔습니다.
근데 어떻게 해도 두산엔진 흑표는 레오2만 못하네요. 응?!
PS2: 제목 잡기 애매해서 RE: Ctrl+C, Ctrl+V 했습니다.
※ 두번째 표의 기준선을 거리기준에서 속도기준으로 변경하는 수정이 있었습니다.
최근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