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26E4 슈퍼 퍼싱에 피스톨 포트가 없는 이유 by 척 키스


포탑 좌후면 피스톨 포트가 없는 T15E1장착 T26E4 시제 1호차

포탑 좌후면 피스톨 포트가 있는 T15E2장착 T26E4 양산시제차

 모처에선 이걸 가지고 "탄피 제거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추측됀다."라는 억측을 내리던데, 추측하지 말고 책을 봤다면 저렇게 쓸 일은 없었겠죠. T26E4 시제1호차에 피스톨 포트가 없는 것은 T26E1 시제1호차 시절부터 없었기 때문입니다. 풀어서 설명하면 1)90mm T7 포를 단 T26E1 시제 1호차, 2)90mm T15E1 포 장비 T26E1, 3)T26E4 임시 시제 1호차로 명명 4)3기갑사단에 배치되어 증가장갑을 증설하고 운용. 5)독일 카셀인근 차량적치장에 보관된 뒤 스크랩이라는 순서대로 동일 차량이 사용되었고, 90mm T7 포를 달던 T26E1 시제 1호차부터 피스톨 포트 없이 만들어졌기 때문이죠.

애버딘 전차시험장에서 시험 중(1944년 2월)에 좔영된 T26E1 시제 1호차, 
이 전차는 이후 90mm T15E1 포를 장비하고 유럽에 보내짐.


참고자료: Pershing A History of the Medium tank T20 Series; R.P. Hunnicutt; Presidio Press; 1999; ISBN: 0891416935


PS: T26E1-2, T26E1 시제 2호차도 탄피배출구가 없는건 마찬가지입니다.

PS2: 굳이 "억측"이라 이야기한 것은 탄피 배출 문제가 없는 M4 셔먼 75mm용 포탑에서도 방어력 문제로 피스톨 포트를 43년 2월부터 삭제했고, 피스톨 포트의 필요성을 일선부대들이 보고하자 44년 초에 다시 장비되게 되었다는 사실을 안 다면 저런 추측은 하지 않았으리라 생각해서 입니다.



네이버 이웃커넥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