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체 전면을 보고 M3A3, M5A1을 구분하는 방법. by 척 키스

차체 측면 사진이 있다면 엔진룸 상부가 도드라졌는가(M5 계열), 아닌가(M3A3)로 쉽게 구분이 가능합니다만, 같은 차대에 엔진과 차체 장갑이 바뀐지라 차체 전면만 보여주고, 잡다한 소지품을 엔진룸 위에 쌓아버리면 비슷하게 생긴지라 혼동이 오는 전차죠. 

1)정측면(10시, 2시포탑 중앙을 기준으로) 장갑이 경사 졌고, 2)고리가 정측면장갑에 위치하면 M3A3

1')정측면 장갑이 지면과 수직이고, 2')고리가 정면장갑에 위치하면 M5 계열입니다.


고로 포크님의 포스팅에 나온 프롭 전차는 M5의 프롭이 아니라 M3A3의 프롭인거죠.

게다가 PT-76은 로드휠에 특유의 문양(국화빵 모양 같달까요.)이 찍혀있는지라 기반차체를 PT-76으로 보는건 무리가 있습니다.

로드휠을 보자면 기반 차대는 Su-76으로 보입니다.

참고자료인 Esko Kippo씨의 포스팅에서 이야기하듯
Su-76 차체를 M3A3와 비슷하게 개조하고, M3의 포탑을 이식한 프롭 차량입니다.


참고 자료: Stuart U. S. Light Tanks in Action; Steven Zaloga; Squadron/Signal; ISBN 10: 0897470842; 1979
Esko Kippo씨의 중국 전차 박물관 관람기 http://beijingman.blogspot.kr/2008/04/tank-museum-china.html


덧글

  • 포크의 헉헉 2013/01/26 19:37 #

    오오 그렇군요. 좋은 정보 알아갑니다.
  • 척 키스 2013/01/26 23:53 #

    그냥 허접한 식별요령입니다. : )
  • 장갑묘 2013/02/04 01:10 #

    언급하신 대로 M3와 M5는 차체 정면만 제대로 보이면 구분이 쉬운데
    꼭 주렁주렁 뭘 매달고 다니거나 사진 각도 때문에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죠.

    그나저나 M5 차체 하부에 달린 보카주 버스터 엄청 귀엽군요.
    M4에 달린 건 나름 커서 귀여운 맛이 없죠.
  • 척 키스 2013/02/05 22:00 #

    짐 싣고, 위장한다고 가려놓고, 보병 태우고 있고, 절묘하게 다른 차량에 가렸다던가, 구분점을 찾기 어려운 곳만 찍어놨다던가...
    한참 들여다봐야 형식구분이 가능한 경우가 많죠.

    PS: 정말 귀여운 전차는 이거죠. 응?!
    http://4.bp.blogspot.com/-kupGRceaSY4/TWUII4O9MyI/AAAAAAAAAw8/IB9VMhYqJQI/s1600/tank+girl+photo+1.jpg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


네이버 이웃커넥트